Pipe와 Flange 규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1. KS, JIS 배관규격 

2. ASME 배관규격 

3. ANSI 150#,300# FLANGE 규격 

4. ANSI 600#,900# FLANGE 규격 

5. 1500# FLANGE 규격 

6. KS,JIS FLANGE 규격 

7. API 규격 

8. DIN 규격 

9. FLANGE 중량표(150#,300#,600#,900#)


규격에 대한 기초는 아래와 같습니다.

Slip On Flange - 슬립온 타입 플랜지

FF - Flat face 타입의 플랜지 면

DN 15 - 구경이 15mm

CS - Carbon Steel 재질이 카본스틸

JIS 5K - CODE가 JIS

SUS - 재질이 SUS 316

SCH - 스캐쥴 / 배관의 두께를 말합니다.

LR - Long Radius 반경이 구경의 1.5배 

SR - Short Radius 반경이 구경의 1.0배










배관플렌지규격표.xls





공정 설계-시뮬레이션을 할 때 흔히 저지르는 실수


1. Scrubber나 Separator를 설계할때, 실제 부피를 사용하지 않고 Standard 부피유량을 사용해서 지나치게 오버디자인 하는 경우. 대략 : 실제 부피 =~ Standard 부피 / 압력 (barg)

2. 가스 컴프레서를 다룰때 (특히 왕복식), 토출 압력이 컴프레서 자체로 조절된다고 믿는 경향이 있는데, 이건 완전히 틀린 생각이다. 토출 압력은 다운스트림에 있는 기기에 대한 배압(Back pressure)으로 결정된다. (다운스트림의 기기가 컨트롤 밸브인 경우, 토출 압력은 유량에 따라 변하는데 이때의 유량은 컴프레서 자체로 조절할 수는 있다.)

3. 사람들은 HYSYS를 이용하여 증류탑을 설계할 때, short cut distil. column을 이용해서 단수, 환류비, 피드 단수, 리보일러 온도등을 모두 집어 넣고 실행해서 계산이 수렴되길 기다린다. 이것은 완전히 시간낭비이다.
여기에서 추천하는 방법은 대략 계산으로 구한 단수+2~5 단으로 정하고 피드 단수를 정한다음, bottom에서 light한 주 물질과 top에서 heavy한 주 물질을 집어 넣고 계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금방 수렴이 된다. 이제부터 최적화하는 것은 물론 당신의 몫이다.

4. 일부 사람들은 스트림에서 H2S 성분을 정하는데 HYSYS을 이용하는데,.. 잘못된 것이다.
HYSYS는 HydroCarbon 및 물에서 H2S의 용해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주의할 것!



'Design > Proc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트밸브 (Gate Valve)  (0) 2014.07.31
다단계 증기압 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0) 2013.10.17
농도 계산  (0) 2013.03.13
펌프의 종류  (0) 2013.01.24
Flow Measurment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0) 2012.01.19

농도 계산

Design/Process2013. 3. 13. 19:04

▧ 농도계산 

1. 백분율 농도 

 백분율 농도에는 다음과 같은 농도가 있다. 

 1) v/v %농도 : 용질부피 / 용액부피 * 100 [ℓ/ℓ]  → vol % 표시 
 2) w/w %농도 : 용질무게 / 용액무게 * 100 [g/g]  → wt % 표시 

 * 통상 %농도라 하면 주로 w/w%를 의미한다. 

  밀도가 1g/ℓ경우 동일한 계산결과가 나옴. 
  일반적인 물의 밀도 = 1 mg/cm3 = 1 g/mℓ = 1 kg/ℓ 
  
  w/w %농도는 무게백분율이라 부르며, v/v %농도는 부피백분율이라고 칭한다. 

 * 참고  
  
  - 무게 (weight) :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중량이라고도 한다. 
  - 질량 (mass)  : 물체의 역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물체 고유의 기본적인 양 

  
2. ppm 농도 [parts per million] 

 ppm 농도는 어떠한 용질 1mg이 용액 1,000,000 mg (즉 1 kg)중에 들어있는 농도를 말한다. 
 (단 비중이 1인 경우) 
  
 X ppm 농도의 용액을 만들 경우  용질무게 X mg에다, 용질무게를 포함한 용액전체의 무게가 1 kg 
 (=1,000,000 mg)이 되도록 용매를 넣어주어야 한다. 
      
 미량분석의 정량범위, 검출한계 등을 수적으로 표현하는 단위로 ppm 농도와 %농도간의 환산문제을 
 자주 실시하며, 
 %는 백분율이므로 1/100이 1%가 된다. ppm은 백만분율이므로 1/1,000,000의 값이 1 ppm이 된다. 

 따라서 1 = 100% = 1,000,000 ppm 이며, 1% = 10,000 ppm 이다. 
 그러므로 % 농도를 ppm 단위로 고치려면 10,000 ppm/%를 곱해주어야 한다. 
    
 * ppm 농도 = w/w %농도 * 10,000 [ppm/%] 


3. ppb 농도 [parts per billion] 

 수질오염도나 대기오염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ppm 농도와 ppb 농도간의 환산문제을 자주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ppb 농도를 1,000으로 나누면 ppm 단위의 농도가 된다. 

 단순히 ppb은 1/10^9 을 표현함. 

 * ppm 농도 = ppb 농도 * [1 ppm/1000ppb] 


4. 몰농도 (Molarity : M) 

 용액 1ℓ에 들어 있는 용질의 몰수를 말하며, M 또는 g-mol/ℓ로 나타낸다. 
  
 M = (w / Mw) * (1,000 / V)      
 ☞ w : 용질의 무게(g),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V : 용액의 부피(mℓ) 

 M = (10 * w/w %농도 * ρ) / Mw  
 ☞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ρ : 용액의 밀도(g/mℓ) 

              
5. 몰랄농도 (Molality : m) 

 용매 1 kg 중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몰수(g-mol수), m으로 표시한다. 
 단위는 [g-mol/kg], 주로 라울의 법칙이나 삼투압 측정 등에 이용된다. 

 몰랄농도(Molality) = 용질의 g-mol수 / 용매 1 kg 
 몰랄농도(Molality) = (w / Mw) / (S / 1000) 
  ☞ w : 용질의 무게(g),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S : 용매의 무게(g) 


6. 노르말농도 (Normal : N) 

 용액 1ℓ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당량수로 나타내며, N으로 표시한다. 

 노르말농도 (N) = 용질 g-당량수 / 용액의 부피(ℓ) 
 노르말농도 (N) = (w / E) * (1000 / V) 
  ☞ w : 용질의 무게(g), E : 용질 1g 당량수(g/g-당량), V : 용액의 부피(mℓ) 
  
  * g 당량수 = 분자량 / (1분자중의 H+ 또는 OH- 수) 

                    

7. 몰분율 (molar fraction) 

 어떤 성분의 몰수(數)와 전체 성분의 몰수와의 비를 말한다. 
 1,2,3,...i 성분이 각각  n1, n2, n3,...ni 몰씩 섞여진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 
 혼합물의 총 몰수는 
  
  N = n1 + n2 + n3 + ......ni 
  
  i 성분의 몰분율은  Xi = ni/N 
  
 각 성분의 몰분율을 모두 합하면 1이 된다. 
 X1 + X2 + X3 + ....Xi =  n1/N + n2/N + n3/N+ .....ni/N  
 = (1/N)( n1 + n2 + n3+ ... + ni) = N/N = 1 
 으로 계산이 되어진다. 


8. 몰백분율 

 몰분율(分率)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 


9. 중량비    

 용질의 g수를 용매의 g수로 나눈 값 


10. 몰비(比) 

  용질의 몰수를 용매의 몰수로 나눈 값 



▧ 농도환산 

1. %농도 → 몰농도(M)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 분자량] = M 농도 

2. %농도 → 노르말농도(N)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1g 당량의 무게] = N 농도 

3. M농도 → N농도 

공식 ☞  M 농도 * (H+농도 또는 OH-농도) = N 농도 

4. 용해도 → %농도 

공식 ☞  %농도 = [용해도 / (100 + 용해도)] * 100 % 



▧ 기타 필요공식 

1. 몰분율 (mole fraction) : 한 성분의 몰수를 성분전체의 몰수 나눈 값 

  n1, n2 : 각 성분의 몰수 
  X1, X2 : 각 성분의 몰분율 

  X1 = n1 / (n1 + n2), X2 = n2 / (n1 + n2) 
  X1 + X2 = 1 

2. 희석 또는 농축에 대한 계산 

  M1 * V1 = M2 * V2 

  * M1, M2 : 혼합전/후의 몰농도 
  * V1, V2 : 혼합전/후의 용액부피 

  (M1 * V1) + (M2 * V2) = M3 * (V1 + V2) 

  * M1, M2 : 혼합전 용액1, 용액2의 몰농도 
  * M3    : 혼합후 용액3의 몰농도 
  * V1, V2 : 용액1, 용액2의 용액부피 


※ 농도에 대한 참고사항 

 - M농도, N농도는 온도에 영향을 받으나, %농도, m농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산(염기)당량이란? : 1몰의 H+(OH-)을 낼 수 있는 산(염기)의 양 

  * 산(염기) 1g 당량 = 산(염기) 1몰 / H+수(또는 OH-수) 

      예) HCl  1몰 : 1g 당량 
          H2SO4 1몰 : 2g 당량